본문 바로가기
Flight

비행의 역사 (History of Flight)

by 마이노미노 2021. 12. 15.
728x90
반응형

1. 비행을 위한 인류의 꿈 (Human Dreams for Flight)

 

인류는 새와 같이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 보고자 하는 꿈을 이루기 위하여 끝없이 많은 노력을 하여 왔다. 

그중에서 항공발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주요 역사를 개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세기 이탈리아 출신의 예술가이며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새를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공중으로 뜨는 힘과

공기저항을 연구하였다. 

 

그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한 헬리콥더 모형을 고안하였으며, 새와 같이 날개를 퍼덕여서 날 수 있는 오니토퍼(날개치기)

를 설계하고, 모형을 만들어 실험하였다. 그러나 1658년 이탈리아의 생리학자이며 수학자인 보렐리는 새의 날개 짓하는 힘과 체중의 관계를 사람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인간의 힘만으로는 비행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1783년 11월 2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기구에 의한 초초의 유인비행이 이루어졌으며, 이때 몽골피에 형제, 물리학자 드 로제, 아를란드 등 4명이 약 500M 높이로 25분간 8km를 비행하였다. 이륙동력으로는 양털과 짚을 태운 열기를 이용하였다. 

 

그 후 영국의 조지 케일리 경은 1799년에 최초의 모형글라이더 구조를 디자인하였고, 1804년에는 최초로 모형글라이더를 날렸으며, 1808 ~ 1810년에 작성된 "공중비행에 대하여"라는 논문에서 날개치기 방식이 아닌 기계적 방식에 의한 비행가능성을 발표하였는데, 이 논문은 오늘날 양력발생이론과 거의 동일한 내용으로서 양력과 항력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그는 1849년에 3겹 날개의 글라이더를 만들었으며 그의 모형글라이더는 오늘날 비행기의 형태로서 근대적 비행이론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를 비행의 아버지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케일리의 양력이론과 릴리엔탈의 비행실험 등을 통하여 동력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런 시기에 프랑스의 에티네 레노일이 1860년에 내연기관(가스엔진)을 최초로 발명하였고 이어서 독일의 오토가 1876년에 가솔린엔진을 발명한 후 1885년에 독일의 다임러가 실용화함으로써 동력비행의 가능석이 한층 높아졌다.

 

미국의 옥타체너트는 독일의 릴리엔탈의 영향으로 비행 관련 서적 -비행기계발전-을 발표하여 오빌과 윌버라이트 형제에게 동력비행에 대한 영향을 주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