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Flight28 날개 끝 와류(Wingtip Vortices) 1.구성 조건(Composition Condition) 와류의 형성(Formation of Vortices) 에어포일의 역할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것인데 양력이 발생됨에 따라 동시에 유도항력도 같이 발생한다. 만일 에어포일이 양의 받음각(+)에서 비행을 한다면 에어포일의 날개 위로 흐르는 공기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것이고 날개 아래로 흐르는 공기의 압력은 대기압과 같거나 높을 것이다. 공기는 항상 고압에서 저압으로 이동하고 가장 적은 저항의 경로가 날개의 끝이기 때문에 에어포일의 아래로부터 날개 끝 동체 바깥쪽으로 날개를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공기의 흐름은 날개 끝 위로 공기유출을 일으켜서 와류라고 불리는 공기의 소용돌이를 발생시킨다. 날개 바깥쪽의 공기흐름 속도는 날개 위를 흐르는 공기의 .. 2022. 1. 24. 비행기 항력(Drag) 항력은 항공기가 앞으로 진행하려는 운동을 방해하는 힘이다. 항력에는 크게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유도항력(Induced Drag)으로 구분한다. 유해항력(Parasite Drag) 유해항력은 Parasite라는 단어가 의미하듯이 항공기 주변 공기의 흐름, 난기류, 또는 항공기 에어포일등 항공기 형상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발생하는 항력이다. 유해항력은 형상항력(Form Drag), 간섭항력(Interference Drag)과 표면 마찰 항력(Skin friction Drag) 3가지로 나뉜다. -형상항력(Form Drag) 형상항력은 항공기 동체와 그 주위를 지나가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생겨나는 항력이다. 예를 들면 엔진덮개, 안테나, 그리고 다른 구성품들은 공기의 흐름을 방.. 2022. 1. 24. 비행과 항공 역학(Aerodynamic of Flight) 비행 중 항공기에 작용하는 4가지 힘 (Forces Acting on the Aircraft) 비행 중인 항공기에는 추력과 항력, 양력과 무게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대해서 알고 그 힘을 엔진 출력과 조종면을 통해서 조절하는 법을 이해하는 것이 비행에 있어 필수적이다. 이 단원에서는 어떻게 추력과 항력, 양력과 무게, 하중계수 등을 어떻게 조절할지에 대해 기술한다. 추력(Thrust) 항공기 엔진, 혹은 프로펠러, 또는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항공기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힘이다. 이는 항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며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세로축과 평행하게 작용한다. 항력(Drag) 날개와 회전날개, 그리고 동체나 다른 돌출된 부분은 공기흐름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고, 힘(저항)은 뒤로 향하여 항공기의 .. 2022. 1. 13. 선회계기(Turn coordinator) / 나침반 계기(Compass system) 선회계기(Turn coordinator) Turn and Slip indicator의 주요한 제한사항은 항공기의 수직축 회전만을 감지한다는 것이다. 그에 비하여 Turn coordinator는 Turn and slip indicator와 같이 자이로의 선행성(precision)을 이용하지만 짐벌 구조가 항공기의 종축으로부터 30도 각도로 기울어져 roll과 yaw를 둘 다 감지하도록 해준다. Turn coordinator의 자이로는 전기로 작동되므로 진공펌프(suction pump)로 작동되는 자세계기가 고장 났을 때 대체 계기로 이용할 수 있다. 계기의 눈금은 수평비행과 표준율 선회를 지시하며 Coordinator ball이라 불리는 Inclinometer는 경사각(bank angle)과 yaw의 비율.. 2022. 1. 12.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