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4

조종사 교육, 훈련, 평가 (Pilo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Evaluation) 조종사 교육 (Pilot Education Programs) 교육 및 훈련기관 - 조종사를 교육하고 훈련하는 기관은 대학교, 전문학교, 평생교육원, 학원 등이 있으며 나라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지정전문교육기관을 운영한다. (항공법 29조 3항) 조종사 자격취득을 위한 학과시험 시험과목 및 범위 아래 표는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시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 조종사 자격취득을 위한 응시 비행경력 - 사업용 조종사 - 자가용 조종사 - 계기 비행 증명 2021. 12. 21.
조종사의 자격 1. 조종사의 자격증명 (Pilot Certificates) 운송용조종사, 사업용조종사, 자가용조종사, 부조종사의 자격증명을 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조종, 조작을 할 수 있는 항공기의 종류, 등급 또는 형식을 한정한다. '한정자격'이라 함은 자격증명에 직접 기재하거나 자격증명의 일부로 인가하는 것으로서 운송용조종사, 사업용조종사, 자가용조종사, 부조종사 자격응명과 관련하여 특정조건, 권한 또는 제한사항 등을 규정하는 자격의 일부를 말한다. 자격증명별 업무 범위 -운송용 조종사 -사업용 조종사의 업무 -항공운송사업 목적 항공기 조종 -사업용 조종사 -자가용 조종사의 업무 -보수를 받고 무상운항으로 항공기 조종 -항공기사용사업 목적의 항공기 조종 -기장 외의 조종사로서 항공운송사업에 .. 2021. 12. 21.
비행의 역사 (History of Flight) 우리나라의 비행의 역사 (Histroy of Korean Aviation) 정부수립 이전의 항공 (Aviation Prior to Government Formation) 동력비행기가 우리나라에 첫 선을 보인 것은 1913년 일본해군 기술 장교가 서울 용산의 조선군 연병장에서 "나라하라 4호" 비행기로 공개 비행생사를 가진 것이 그 효시이다. 이는 미국 라이트 형제의 최초 동력비행 성공(1903.12.17)보다 10년 후였다. 1914년 일본인 다까소오가 최초 민간 항공인으로 용산에서 비행하였고, 1916년 10월 초 일본인 오자끼가 한국을 방문하고 최초로 유료비행을 하여 한국인들은 비행기를 처음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1917년에는 미국인 아트 스미스가 커티스호로 한국을 방문하여 비행하였으며, 1920년 .. 2021. 12. 15.
비행의 역사 (History of Flight) 1. 비행을 위한 인류의 꿈 (Human Dreams for Flight) 인류는 새와 같이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 보고자 하는 꿈을 이루기 위하여 끝없이 많은 노력을 하여 왔다. 그중에서 항공발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주요 역사를 개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세기 이탈리아 출신의 예술가이며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새를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공중으로 뜨는 힘과 공기저항을 연구하였다. 그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한 헬리콥더 모형을 고안하였으며, 새와 같이 날개를 퍼덕여서 날 수 있는 오니토퍼(날개치기) 를 설계하고, 모형을 만들어 실험하였다. 그러나 1658년 이탈리아의 생리학자이며 수학자인 보렐리는 새의 날개 짓하는 힘과 체중의 관계를 사람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인간의 힘만으로는 비행이 불가.. 2021. 12. 15.
반응형